티스토리 뷰

```

도자기공예 지도사 자격 흙선정 가마소성 유약기초

도자기공예 지도사 자격 흙선정 가마소성 유약기초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도자기공예 지도사 준비 핵심 요약: 흙선정 6단계, 가마소성 3스케줄(비스킵 900~950°C, 본소성 1230°C 산화·1250°C 환원), 유약기초 4레시피와 테스트 규격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목차

도자기공예 지도사 자격 준비부터 흙선정, 가마소성, 유약기초까지 2025 최신 기준으로 실무 체크리스트를 정리했습니다—지금 확인해보세요.

도자기공예 지도사로 가는 길, 흙 선택부터 유약 기초와 가마 소성 로드맵

지금부터 도자기공예 지도사 자격 흙선정 가마소성 유약기초에 대한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자기공예 지도사 자격과 흙선정 핵심

도자기공예 지도사라는 직함은 수업 설계, 안전 관리, 공정 지도, 평가까지 모두 책임지는 역할입니다. 시험 통과만이 아니라 수강생 작품의 완성도를 끌어올리는 체계가 필요해요.

도자기공예 지도사 자격 흙선정 가마소성 유약기초_1도자기공예 지도사 자격 흙선정 가마소성 유약기초_2도자기공예 지도사 자격 흙선정 가마소성 유약기초_3

제가 현장에서 느낀 건 간단합니다. 흙선정과 가마소성, 유약기초 이 세 축을 숫자와 기준으로 관리하면 수업 품질이 안정되더라고요.

자격 로드맵 2025: 커리큘럼·포트폴리오·현장지도

자격 준비는 이수 시간, 포트폴리오, 실무 멘토링의 세 줄기로 관리합니다. 이수 시간은 이론 30~40시간, 실기 60~80시간(총 90~120시간)이 평균적인 설계로 무난합니다.

포트폴리오는 최소 8점, 권장 12점으로 구성하고 형식은 컵 2, 접시 2, 그릇 2, 소형 화병 1, 자유작 1 이상으로 균형을 맞추면 심사 시 강점이 됩니다.

현장지도 역량은 수업 계획안 4주·8주·12주 버전 각각을 템플릿화해 보유합니다. 초급반, 심화반, 토요 집중반처럼 목적과 일정이 다른 편제를 동시에 운영하면 일정 조율에 강해집니다.

아이디어 레퍼런스가 필요하다면 시각 자료가 큰 힘을 줍니다. 저는 다음 보드를 종종 참고합니다: 도자기공예 아이디어 보드.

흙선정 체크리스트 6단계와 소지별 수치

첫째, 목적 결정: 식기, 조형, 타일 중 무엇을 만드는가를 먼저 정합니다. 식기는 강도·흡수율, 조형은 성형성, 타일은 평판 안정성이 기준입니다.

둘째, 소성 온도대 결정: 저화도(1040~1120°C), 중화도(1180~1220°C), 고화도(1230~1300°C) 중 선택하고 교육용은 중화도 1200~1230°C가 관리가 편합니다.

셋째, 소지 선택: 백자계(흡수율 ≤ 1%, 수축 12~14%), 석기계(흡수율 1~3%, 수축 10~13%), 테라코타계(흡수율 6~12%, 수축 6~9%). 수치가 명확하면 가르치기 쉬워요.

넷째, 샤모트(그로그) 함량: 손빌드·조형은 10~25%가 안정적입니다. 두께 8mm 이상 대형은 20% 전후를 추천합니다.

도자기공예 지도사 자격 흙선정 가마소성 유약기초_4도자기공예 지도사 자격 흙선정 가마소성 유약기초_5도자기공예 지도사 자격 흙선정 가마소성 유약기초_6

다섯째, 수축·흡수 테스트: 100mm 기준 바 길이를 빚고, 비스킵 후·본소성 후 길이를 캘리퍼로 측정해 수축률 = (초벌 전 길이 − 소성 후 길이)/초벌 전 길이 × 100%로 기록합니다.

여섯째, 슬래킹(재가수) 테스트: 동일 소지를 물에 담갔다 빼서 재가수 시간(분)을 비교합니다. 재가수 5분 내 균일해지는 소지는 교습에서 초보자가 다루기 쉽습니다.

주의할 점 하나, 같은 이름의 소지라도 배치마다 성격이 바뀌곤 합니다. 그래서 저는 매 배치마다 5×5 테스트 타일을 꼭 굽습니다. 사진 참고는 여기서도 많이 얻어요: 작품·유약 질감 레퍼런스.

가마소성 실무 스케줄과 결함 잡기

가마소성은 온도만 올리는 일이 아닙니다. 가열 속도, 정지(소킹) 시간, 냉각 곡선, 대기 상태(산화·환원) 네 요소를 통제해야 결과가 일정해집니다.

너무 단순해 보이나요? 하지만 실제로는 이 네 가지를 그래프처럼 적어두는 습관만으로 핀홀과 뒤틀림이 눈에 띄게 줄어요.

전기·가스 가마소성 3가지 표준 곡선

표준 A: 비스킵(산화, 전기) — 100°C/h로 200°C까지, 150°C/h로 600°C까지(수분·유기물 제거), 120°C/h로 900~950°C까지 오른 뒤 10~20분 소킹.

표준 B: 본소성 산화(전기 콘6, 1210~1230°C) — 120°C/h로 600°C, 90°C/h로 980°C(쿼츠 전이 573°C 구간 완만), 60~80°C/h로 1230°C 도달 후 15~30분 소킹, 자연냉각.

표준 C: 본소성 환원(가스 콘7~8, 1240~1270°C) — 980°C부터 약한 환원을 시작해(0.3~0.4의 O₂), 1250°C 전후 중환원, 10~15분 소킹, 천천히 냉각해 크랙을 예방합니다.

냉각 팁은 간단합니다. 1000°C→800°C 구간을 120~150°C/h로, 800°C→600°C를 100°C/h로 식히면 션팅(유약 불균일)과 텐션 크랙이 줄어듭니다.

도자기공예 지도사 자격 흙선정 가마소성 유약기초_7

시각 자료로 곡선을 그릴 때는 이런 사진 묶음이 도움이 됩니다: 가마·소성 인스퍼레이션.

핀홀·크레이징·크롤링 원인·해결

핀홀은 주로 유기물 잔존·기포 배출 실패·급가열 때문입니다. 비스킵에서 600~800°C 구간을 완만히 올리고 본소성 상승 속도를 마지막 100°C 구간에서 50~60°C/h로 낮추면 대부분 잦아듭니다.

크레이징(균열)은 유약 열팽창이 소지보다 클 때 생깁니다. 실리카를 +2~3% 올리거나 알루미나(카올린) +1~2%로 네트워크를 강화하면 해결이 빠릅니다.

반대로 쉬버링(껍질 벗겨짐)은 유약 열팽창이 더 작을 때 발생합니다. 플럭스(장석, 프릿)를 2~3% 올리거나 실리카를 1~2% 낮춰 맞춥니다.

크롤링(벌어짐)은 바탕 먼지, 과도한 유약 두께, 과플록으로 생깁니다. 체질 80~100메시, 비중 1.45~1.50 유지, 도포 두께 0.5~1.0mm 권장, 바탕은 스펀지로 청결 유지가 정석입니다.

제가 겪은 즉효 팁 하나. 573°C 쿼츠 전이 구간에서 20분 정지(소킹)를 넣었더니 큰 접시의 크랙이 절반 이하로 감소했습니다. 단순하지만 진짜 효과가 있더군요.

문제 원인을 사진으로 비교해보려면 이런 보드가 유용합니다: 결함·표면 사례 모음.

유약기초, 베이스 4레시피와 테스트 설계

유약기초의 관건은 ‘재현성’입니다. 비중, 체질, 도포 두께, 소성 곡선을 수치로 묶어두면 어떤 작업실에서도 결과를 복제해낼 수 있어요.

처음엔 숫자가 버거워 보여도 금방 익숙해집니다. 진짜 이거 하나면 반은 끝입니다^^

투명·새틴·백탁·셀러돈 베이스

콘6 산화 투명 유광(총 100g 기준): 프릿3134 40, 포타시 장석 25, 실리카 20, 카올린 10, 울라스토나이트 5. 산화 1230°C, 비중 1.47 전후, 100메시 체질.

콘6 산화 새틴 매트: 네펠린사이언이트 35, 프릿3124 25, 실리카 15, 카올린 15, 돌로마이트 10. 1220~1230°C, 비중 1.48, 새틴 질감은 과도한 매트화를 피해야 긁힘이 덜합니다.

콘6 산화 백탁(지르콘 불투명): 투명 베이스에 지르콘 8~12% 추가. 10%부터 우유빛이 안정적입니다.

콘7 환원 셀러돈 기초: 포타시 장석 45, 실리카 30, 카올린 20, 백운석 5, 산화철 0.3~0.6%. 1250°C 환원, 냉각을 완만히 해야 얼룩을 줄입니다.

색소 가이드(총량 대비): 코발트 카보네이트 0.15~0.6%, 구리 카보네이트 1~3%, 망간 이산화물 1~4%, 루틸 2~6%. 과하면 표면이 거칠어지니 소량부터 누적 테스트가 좋아요.

표면 영감은 이런 이미지에서 많이 떠오릅니다: 유약 질감 인스퍼레이션.

테스트 타일·비중·체질·기록법

테스트 타일은 50×70mm 타일에 유약을 1회 담금 도포하고 상·하단에 밀도를 달리해 두께 반응을 봅니다. 5×5 그리드(베이스 5, 색소 5 농도)면 하루에 충분히 끝납니다.

비중은 1.45~1.50 사이가 다루기 좋습니다. 100ml 유약을 저울컵에 담아 g 단위로 측정해 g/ml로 기록하세요.

체질은 80메시→100메시 순으로 2회 권장합니다. 새틴 매트류는 120메시까지 걸러 입도 균형을 맞추면 기가막히게 표면이 고릅니다.

도포 두께는 0.5~1.0mm를 기준으로 캘리퍼로 측정합니다. 2초 담금, 3초 담금처럼 ‘시간’과 ‘두께’를 함께 기록하면 재현성이 올라갑니다.

저는 타일 뒷면에 소지 코드, 비스킵/본소성 온도, 유약 코드, 비중, 체질 메시, 도포 시간, 소성 곡선 번호를 모두 적습니다. 처음엔 번거롭지만, 다음 작품이 편해져요ㅎㅎㅎ

기록을 깔끔하게 정리할 레이아웃을 떠올릴 때도 다음 보드가 참 편합니다: 테스트 타일 아이디어.

도자기공예 지도사 수업 운영 포인트와 안전

수업은 12주를 한 모듈로 잡고, 1~2주는 흙선정·성형 기초, 3~6주는 성형 심화·트리밍, 7~8주는 비스킵·샌딩, 9~11주는 유약 실습, 12주는 본소성과 리뷰로 구성하면 깔끔합니다.

안전은 환기, 장갑·보안경, 분진 관리가 핵심입니다. 샌딩은 젖은 상태에서 하고, 건식 분진은 국소 배기(HEPA) 흡입구를 가깝게 둡니다.

가마 주변은 60cm 이상 비워두고 가연물을 두지 않습니다. 열화상 온도는 80°C 이상이 되는 외벽이 없는지 주기적으로 체크합니다.

가마 선반 세척은 알루미나 하이드레이트:카올린 = 50:50 워시를 얇게 바릅니다. 두껍게 바르면 조각이 떨어져 작품 바닥에 박히곤 해요.

새로 들어온 분들과는 레퍼런스 보드를 공유하면 감이 빨리 잡힙니다. 저는 여기 링크를 단체방 상단에 고정해요: 작품 레퍼런스 공유.

흙선정 실습 패키지 90분 체험반 운영법

첫 10분은 흙 3종(백자, 석기, 테라코타) 만져보기, 20분은 코일·판 성형, 30분은 컵/접시 중 택1 성형, 10분은 표면 정리, 20분은 도장·도구로 표면 패턴입니다.

체험반에서는 샤모트 10% 석기가 실패를 줄입니다. 높이 80mm, 두께 5~6mm를 넘기지 않게 수치로 안내하면 굉장히 안정적으로 완성됩니다.

가마소성 데이터 기록 폼과 품질 관리

폼 항목은 날짜, 배치 코드, 소지/유약 코드, 적재 사진, 상승 속도 3구간, 소킹 시간, 최종 온도, 냉각 속도, 결함 여부, 수정 액션입니다.

한 배치당 불량률 5% 이하를 목표로 잡고, 7% 이상이면 ‘원인 가설→실험→검증’ 주기를 바로 돌립니다. 숫자만 잡아도 퀄리티가 쭉 올라가요.

유약기초 응용 색상 팔레트 8가지

투명 유광 베이스 + 코발트 0.2%는 밝은 하늘색, 코발트 0.5%는 네이비에 가깝습니다. 구리 2%는 터키블루, 구리 1%+주석 4%는 민트에 가까워요.

도자기공예 지도사 자격 흙선정 가마소성 유약기초에 대해 더 알고싶은 내용은 아래를 확인하세요!

산화철 5%는 카라멜 브라운, 망간 3%는 따뜻한 바이올렛, 루틸 4%는 샌디한 크림 톤입니다. 색은 숫자와 사진으로 쌓으면 팔레트가 빨리 넓어집니다.

도자기공예 지도사 포트폴리오 평가 포인트

형상 반복성, 페어링(접시+컵 조합), 바닥 마감, 림의 균일성, 유약 흐름 컨트롤, 기물 무게/용적 비율이 핵심입니다. 수치 예: 머그 350ml에 280~320g이 균형감이 좋습니다.

트리밍 두께는 바닥 3~4mm, 벽체 4~5mm가 무난합니다. 측정은 디지털 캘리퍼를 권합니다.

흙선정에서 가마소성까지 30일 로드맵

1~7일: 흙선정 테스트 타일 제작(소지 3종 × 유약 4종), 8~14일: 성형·트리밍, 15~17일: 비스킵, 18~25일: 유약 테스트·도포, 26~30일: 본소성·리뷰·수정.

도자기공예 지도사 자격 흙선정 가마소성 유약기초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로드맵은 체험반·초급반·심화반 모두 변형해 적용 가능합니다. 수업이 탄탄해지고 만족도가 올라가요.

결론: 2025 도자기공예 지도사 핵심 체크리스트

자격은 커리큘럼(이론 30~40h, 실기 60~80h), 포트폴리오 12점, 수업안 3종이 뼈대입니다. 흙선정은 수축·흡수 수치와 샤모트 함량으로 관리하세요.

가마소성은 비스킵 900~950°C, 본소성 1210~1230°C(산화)·1250°C(환원) 스케줄을 기준화합니다. 유약기초는 베이스 4종, 비중 1.45~1.50, 100메시 체질이 출발점입니다.

마지막으로, 시각 레퍼런스는 생각보다 큰 힘이 됩니다. 여기에서 아이디어를 정리해 두면 수업 자료가 훨씬 매끈해져요: 도자기공예 아이디어·레퍼런스.

볼만한 글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